2. 사용하시다가 불편하신 점이 있다면 방명록으로 남겨주세요.
3. 왕래는 하지 않습니다.
한글 파일에 비밀번호를 거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 같다. 거의 제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한글이기에 타인이 볼 수도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체적으로 암호화를 사용하고 싶을 때나 가족이 함께 사용하는 PC에 본인의 비밀스러운 글을 작성해두어서 못보게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적어보고자 한다.
한글 비밀번호 설정 방법
한글 비밀번호 설정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저장할 때 설정하는 방법 그리고 문서를 작성할 때부터 암호를 걸어두는 방법이다.
저장할 때 비밀번호 설정하는 방법
1. 일단은 한글 파일을 작성한다.
2.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단축키: alt+V)를 눌러줍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뜹니다.
3. 저장 옆에 도구(L) > 문서 암호(P)를 클릭한다.
4. 암호를 입력한 뒤, 암호 확인에 똑같은 암호를 입력 후 설정 버튼이 활성화가 되면 설정 버튼을 누르면 된다.
※ 암호는 5자 이상 입력해야 함.
※ 암호를 잊어버리면 문서를 불러올 수 없음. 따라서 암호를 적을 때 정확하게 눌렀는지 확인할 것.0
※ 보안 종류를 체크
- 보안 수준 높음을 체크할 경우, 한글 2007부터 불러올 수 있다.
- 보안 수준 보통은 잘 모르겠지만 모든 한글에서 불러올 수 있는 듯 하다.(확인된 정보 아님)
5. 설정을 마친 뒤 저장 버튼을 누르면 암호가 설정된 상태로 저장되게 된다.
문서 작성 시에 비밀번호 설정
1. 한글 메뉴 위에 보안 > 문서 암호 설정을 클릭해줍니다.
2. 비밀번호를 입력해줍니다.
※ 주의사항은 위와 똑같습니다.
- 암호는 5자 이상
- 암호를 잊어버릴 경우 문서를 불러올 수 없음
- 보안 수준 높음으로 할경우 한글 2007부터 불러올 수 있음
3. 그 이후에 저장을 하게 되면 저절로 암호가 걸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