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사용하시다가 불편하신 점이 있다면 방명록으로 남겨주세요.
3. 왕래는 하지 않습니다.
2023년에 개최되는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전시 정보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본전시와 파빌리온이 나뉩니다. 본전시는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국립광주박물관, 무각사, 예술공간 집,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입니다. 파빌리온은 9개 국가관으로 캐나다, 중국, 프랑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네덜란드, 폴란드, 스위스, 우크라이나로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아래에 안내해 드릴 테니 잊지 말고 가보시길 바랍니다.
관련 글 모음
비엔날레 요금 정보, 제휴 할인
티켓 구매 방법
광주비엔날레 티켓(입장권)으로 식당 10% 할인 받는 방법
광주비엔날레 티켓(입장권)으로 사회적 경제 기업 10% 할인받기 (참기름 득템해야지)
셔틀버스 이용 방법 및 시간 안내
광주비엔날레 도슨스(전시 해설) 신청하기
★전시 정보 읽기 전에 꼭 알아두기
- 전시일정: 2023년 4월 7일부터 7월 9일까지
- 주로 월요일에 휴관인 곳이 많습니다. 휴관 요일이 각각 다르니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광주비엔날레 전시 중 유일하게 “광주비엔날레 전시관”만이 입장권이 필요하며, 나머지 본전시(국립광주박물관, 무각사, 예술공간 집,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와 파빌리온은 입장권 없이 무료입장 가능합니다. 예약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관람 종료 30분 전에 입장 마감
본전시
광주비엔날레 본전시 "물처럼 부드럽게 여리게", 다섯 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은 입장권이 필수이며, 나머지 본전시는 입장권 없이 입장 가능합니다.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입장권 必)
1994년 제1회 광주비엔날레를 위해 건립된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은 그간 열세 차례의 전시를 거치며 아시아 최대의 현대미술 비엔날레의 중심적인 전시 장소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제14회 광주비엔날레에서 본 전시관은 수많은 갈래의 서사가 모이는 합류점으로 작동하며 4개의 소주제를 다루고 있는 ‘마디(nodes)’로 연결된다. ‘은은한 광륜(Luminous Halo)’에서는 쿠바, 미얀마, 필리핀 등 세계 각지의 민주화 운동을 다룬 작품들과 인종 및 성 차별뿐만 아니라 팬데믹으로 인해 불거지기 시작한 새로운 계층 차별 및 의료 불평등에 대한 작품들을 아우른다. ‘조상의 목소리(Ancestral Voices)’는 원주민 문화 등과 같은 세계 각지의 전통을 재해석해 서구적 근대성에 도전하는 예술적 실천을 탈국가적으로 조명한다. 일시적 주권(Transient Sovereignty)’은 후기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사상이 이주, 디아스포라 같은 주제를 다루는 예술적 실천을 통해 전개된 방식에 주목한다. ‘행성의 시간들(Planetary Times)’은 생태와 환경 정의에 대한 '행성적 비전'을 제시하는 예술적 관점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본다.
- 관람시간: 09: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 전화번호: 062-208-4114
- 주소: [61104] 광주광역시 북구 비엔날레로 111(용봉동)
주차장
- 주소: [61065]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32-8(매곡동)
국립광주박물관
1978년 개관한 국립광주박물관은 호남지역의 첫 박물관이자 광복 이후 최초로 지어진 지역 국립박물관이다. 신안 해저 문화재를 비롯한 호남지역의 문화유산을 수집·보관하는 박물관에서는 역사적, 지역적 특수성에 기반한 다양한 장소 특정적 작품이 선보여진다. 기획 전시실과 로비, 박물관 2층에 설치된 작품을 비롯해 국립광주박물관 본관 앞에 위치한 정원에서는 양옆으로 심어진 배롱나무와 어우러지는 공공 조각을 만나볼 수 있다.
- 관람시간: 10:00 ~ 18:00 연중무휴
- 전화번호: 062-570-7000
- 주소: [61066]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무각사
광주 서구의 팔경 중 하나인 5.18 기념공원 안에 자리한 무각사는 1971년 창건된 이후 광주 전역의 시민들에게 수행과 참선의 장소를 제공해 왔다. 또한 지역 사회를 위한 문화 공간을 운영해 신진 작가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로터스 아트스페이스’로 새롭게 이름을 바꾼 전시 공간을 비롯해 신행 공간에 위치한 명상 방에서 삶의 순환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하는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참여 작가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 관람시간: 09: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 전화번호: 062-383-0107
- 주소: [61965] 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 230(쌍촌동)
예술공간 집
옛 한옥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며 예술공간으로 재탄생한 예술공간 집은 지난 10년간 지역 작가들과 밀접하게 소통하며 여러 워크숍과 프로젝트를 개최해 온 곳이다. 한옥의 서까래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정겨운 모습의 전시장은 사랑과 상실에 대해 반추하는 모습을 그리는 영상 작업을 소개하는 스크리닝 공간으로 탈바꿈해 관객을 맞이한다.
- 관람시간: 09: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 전화번호: 062-233-3342
- 주소: [61431]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158번길 11-5(장동)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은 일본 식민주의에 대한 저항, 근대화 과정에서의 기독교 복음 역사를 담고 있는 양림산 기슭에 위치한 지역 예술공간이다. 제14회 광주비엔날레에서는 아마존 지역 풍경에 대한 회화적 해석을 담고 있는 작업부터 소설가 한강의 작품 『흰』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장소 특정적 사운드 설치, 바다 위를 부유하는 버려진 사물들을 추적하며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탐색한 작품의 이르기까지 기후변화와 환경문제에 대해 다시금 고찰하는 작업들이 전시되고 있다.
- 관람시간: 09: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 전화번호: 062-682-0976
- 주소: [61643] 광주광역시 남구 제중로47번길 22(양림동)
파빌리온
캐나다 - 이강하 미술관
- 관람시간: 10: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점심시간 13:00-14:00
- 주소: [61663]광주광역시 남구 3.1만세운동길 6
중국 - 은암 미술관
- 관람시간: 10:00-17:00 매주 일요일 휴관
- 주소: [61474]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로 85번길 8-12
프랑스 - 양림 미술관
- 관람시간: 10:00-18:00 점심시간 12:00-13:00
- 주소: [61640] 광주광역시 남구 제중로 70
이스라엘 - 광주미디어아트플렛폼(G.MAP)
- 관람시간: 10: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 주소: [61636]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10
이탈리아 - 보문복지재단 동곡미술관
- 관람시간: 10: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주소: [62397]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 529번길 37
네덜란드 - 광주시립미술관
- 관람시간: 10: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 주소: [61104]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52
폴란드 - 10년 후 그라운드, 양림쌀롱, 갤러리 포도나무
- 관람시간:
10년후그라운드, 양림쌀롱 11:00-21:00 5월 5일~5월 7일만 운영
갤러리 포도나무 11:00-18:00 매주 월-화요일 휴관
- 주소:
10년후그라운드: [61640] 광주광역시 남구 양촌길 1
양림쌀롱: [61640] 광주광역시 남구 양촌길 27-2
갤러리 포도나무: [61640] 광주 남구 백서로 79-1
스위스 - 이이남 스튜디오
- 관람시간:
월~금요일 11:00-21:00
토~일요일 10:00-21:30
- 주소: [61642] 광주광역시 남구 제중로47번길 10
우크라이나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관람시간: 매주 토요일 상영 ☞작품별 상영시간 보기☜
- 주소: [61485] 광주 동구 문화전당로 38
방금 읽은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댓글을 남겨주세요. :)